이란에서는 히잡을 제대로 쓰지 않았다는 이유로 경찰에 연행됐다가 지난 16일 의문사한 22세 여성 '마흐사 아미니' 사태 이후 히잡 시위가 거세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란 경찰은 아미니의 사인이 심장마비라고 발표했지만, 유엔 조사결과, 경찰이 휘두른 둔기에 맞아 숨진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분노한 이란 여성들은 억압의 상징이라며 히잡을 벗어던지거나 아예 불태우고, 머리카락을 직접 자르는 등 시위를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이번엔 남성들까지 가세하면서 시위가 이란 전역 80여 개 지역으로 일파만파 퍼졌는데요. <br /> <br />이에 대한 이란 당국의 강경대응으로 지금까지 어린이 포함 최소 40명 이상 숨지고, 1,000여 명이 체포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사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쌓여왔던 히잡 강제 착용에 대한 불만이 결국 폭발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이란은 1979년 이슬람 혁명으로 보수 정권이 들어선 이후, 여성의 히잡 착용을 의무하는 이른바 '히잡법'을 제정했는데요. <br /> <br />국적과 종교 불문, 만 9세 이상 모든 여성은 공공장소에서 히잡을 착용해야 하고, 여성들의 대외 활동도 제한됐습니다. <br /> <br />반발이 커질 때마다 채찍형을 내리는 법안을 통과시키고, 최대 60일까지 구금할 수 있도록 하기도 했죠. <br /> <br />심지어 이란 여성들의 복장을 단속하기 위해 이른바 '도덕경찰'이라고 불리는 '지도 순찰대'도 설립합니다. <br /> <br />이슬람 율법에 걸맞은 차림새인지 감시하는 임무인데, 지나가는 여성의 머리카락이 너무 많이 보이지 않는지, 옷은 딱 붙지 않는지, 화장이 짙은 건 아닌지 검사하고, 게다가 여성이 신고 있던 장화가 남자들이 보기에 너무 야할 수 있다며 체포하는 경우도 있어 과잉 대응 논란은 끊이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 숨진 아미니도 이 도덕경찰에 의해 구금됐다가 숨진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 <br /> <br />아미니의 죽음으로 촉발된 반히잡 시위는 전 세계로 퍼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스 아테네부터, 튀르키예 이스탄불 거리, UN총회가 열린 미국 뉴욕본부와 보스톤을 포함해 우리나라 강남 테헤란로에서도 "이란의 자유"를 외치는 항의 집회가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집회와 시위를 엄격히 통제하는 이란에서 대대적인 시위가 일주일 넘게 이어지는 것도 상당히 이례적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이번 시위는 '테헤하쉬터디'로 불리는 20대 젊은이들이 주축이 돼, 매일 유동적으로 장소를 바꿔가며 결집하는 게 특징인데요. <br />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석원 (ancpar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92617155097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